배가로근(복횡근, transverse abdominis)은 코어(core) 근육 중 하나이다. 복대 같은 역할을 한다. 대학교 학부 과정에서, 허리 안정화(요추 안정화, lumbar stailization)의 중요한 근육으로 공부했다. 허리 안정화를 위해 배가로근의 수축 시 아랫배가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고 배웠다. 그런데, 요새는 배가 나오도록 해야 배가로근이 더 활성화가 된다고도 하고, 다른 연구에서는 수축해도 배가로근이 활성화된다고도 한다. 어떤 것이 정답이란 말인가?? 어쨌든 배가로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이는곳 | 닿는곳 | 작용 |
엉덩뼈능선(장골능선, iliac crest) 6~12번째 갈비연골 (늑연골, costal cartilage) 샅고랑인대 (서혜인대, inguinal ligament) |
백색선(linea alba) 배곧은근집 (복직근초, rectus sheath) |
배안압력의 증가, 등허리근막의 장력증가 |
8~12번 갈비사이신경(늑간신경, intercostal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배가로근은 위앞엉덩뼈가시(전상장골극)에서 안쪽 2cm, 아래쪽 2cm 지점에서 아랫배에 힘을 주면(문헌에서는 아랫배를 집어넣으라고 한다) 배가로근을 확인할 수 있다. 배가로근 대신 배바깥빗근이 과도하게 수축을 하면 윗배가 들어간다.
배가로근은 배 근육 중 가장 깊은 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배속빗근과 등허리근막(흉요추근막, thoracolumbar fascia)과 연결되어 있다. 이런 해부학적 이유로 인해, 배가로근의 수축은 등허리근막의 장력이 증가되어 허리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그렇다면, 등허리근막과 연결되어 있는 넓은등근의 장력이 증가된다면, 배가로근의 수축을 일으키고 허리의 안정성도 증가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배가로근이 약하면 앞쪽 배가 솟아오르고, 척추 앞굽이(전만)을 심하게 하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할 때, 엎드린 자세에서 허리 펴는 자세를 할 때, 옆구리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경향이 있다.
골반이 고정되었을 경우, 숨을 내쉴 때, 가슴우리 아래쪽을 끌어내 명치각(infrasternal angle)을 감소시킨다. 가슴 우리가 고정되어 있을 경우 치골이 올라가 골반의 뒤쪽 기울임(후방경사)이 발생하여, 등과 허리가 굴곡이 줄어들어 편평 화가 될 확률이 크다.
배가로근은 가로막(횡격막), 골반바닥근(골반저근)과 더불어 배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하는 주요 근육이다. 이 근육들의 연관성을 생각하면 배가로근이 약하거나 과도한 수축을 한다면 가로막에 영향을 주어 호흡근육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골반바닥근에 영향을 주어 비뇨생식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혹은 반대로 가로막이나 골반바닥근도 배가로근에 영향을 주어 소화계통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근육이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않고 입체적으로 움직이고, 특정 체형이나 움직임이 하나의 근육을 통해서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니 통증의 원인 혹은 체형의 문제를 분석하기 힘들어지는 이유다.
2. 통증 부위와 증상
압통점은 옆구리와 앞쪽 사이 45~60도 사이 대각선 부위 있고, 위쪽 배 전체에 방사통이 나타나며, 특히 위쪽 압통점은 앞쪽 갈비뼈와 복부사이에 띠를 두른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칼돌기(검상돌기)에 집중된 통증이 나타난다. 종종 고환의 중앙과 아래쪽으로 방사통이 나타난다. 기침을 할 때 복압이 증가하면서 배가로근을 자극하여 통증이 심해진다.
다른 배근육과 마찬가지로 내장기의 연관통과 압통점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정신적 스트레스, 기생충, 자세적인 문제, 등의 문제, 내장기의 연관통은 배가로근의 압통점에 영향을 준다.
3. 관리법
가장 간단한 관리법은 배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다. 소화문제로 인한 내장기 연관통으로 인한 복부 통증은 아주 효과가 좋다. 그리고, 배 마사지와 호흡법을 통해서 배가로근의 이완과 강화를 해준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다.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곧은근(복직근, rectus abdominis) (1) | 2025.01.03 |
---|---|
배속빗근(내복사근, internal abdominal oblique) (1) | 2024.12.18 |
배바깥빗근(외복사근, external abdominal oblique) (0) | 2024.12.08 |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 serratus posterior inferior) (0) | 2024.12.01 |
위 등뼈 증후군(상부 흉추 증후군, upper thoracic syndrome) (0) | 2024.11.29 |